SK하이닉스 1기 팹 건설에 4500억 규모 지역자원 활용
SK에코플랜트, 용인지역 11개 업체와 생산시설 설치
현장서 콘크리트 직접 조달로 트래픽 감축과 공기 단축
SK하이닉스의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공사에 4500억원 규모 지역자원을 활용하겠다는 약속의 첫 단추가 꿰어졌다. 생산라인(Fab) 조성에 필요한 레미콘(Ready mixed concrete) 자재를 지역내 업체에서 공급받기로 하면서다.
17일 용인특례시에 따르면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시공사인 SK에코플랜트는 용인지역에 있는 11개 레미콘 업체, 운송업체와 협의를 진행해 콘크리트 생산시설을 설치하기로 결정했다. 이 시설의 운영은 지역내 레미콘 업체가 모여 설립한 특수목적법인(SPC) ‘용인레미콘’에서 운영한다.
현장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생산시설은 3월 12일 인허가 관련 절차를 모두 마쳤다. 본격적인 생산에 돌입하면 일 8000여톤 규모의 레미콘을 생산해 현장에 직접 공급한다.
이번 콘크리트 자재공급 결정은 지난 2월 이상일 용인특례시장과 SK하이닉스가 맺은 ‘SK하이닉스 Fab조기착공 추진 및 지역건설산업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에 따른 조치다.
협약 이후 SK하이닉스는 지역상생을 위해 용인시에 4500억원 규모 지역자원 활용계획을 제출한 바 있다. 앞서 SK하이닉스는 반도체 클러스터 부지 조성 토목공사 과정에서도 2500억원 규모 용인 지역자원을 활용한 바 있다.
용인시는 지역 건설경기 활성화 외에도 현장 인근에서 자재를 공급함으로써 레미콘 운송차량 운행으로 인한 주변 도로 교통정체 문제를 사전에 차단하고, 자재 공급 효율성을 높여 공사기간 단축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상일 시장은 “처인구 원삼면에 조성하는 ‘용인 반도체클러스터 일반산업단지’는 단일 도시로는 세계 최대 규모의 반도체생태계를 구축한 용인의 반도체산업의 핵심 거점이 될 것”이라며 “첫 번째 팹(Fab) 공사를 시작으로 남은 3기의 팹 공사과정에서도 용인의 자원이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이라고 말했다.
SK하이닉스는 처인구 원삼면 415만㎡(약 126만평) 규모의 ‘용인 반도체클러스터 일반산업단지’에 122조원을 투자해 생산라인(Fab) 4기 구축을 목표로 세웠고, 올해 2월 말 첫 생산라인 건설공사를 시작했다. 생산라인 1기 건설기간은 약 2년여, 연인원은 300만명이 투입될 것으로 전망된다.